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시의 이해


도시공학(urban engineering)은 흔히 설계, 계획, 교통, 환경, 방재, 정보 등 다양한 분야가 어우러져 하나의 오케스트라(orchestra)라고 한다. 최근 도시는 고도화, 복잡화 되면서 다양한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쾌적한 삶의 질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 도시공학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책 도시의 이해 , 도시공학의 이해에 반드시 추천한다.
도시는 이제까지 그 곳에서 살아왔던 보통사람들의 끈끈한 삶의 궤적을 오롯이 담아내고 있다. 그러기에 도시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공간적 패러다임의 변천과정을 통해서 해석할 수 있다. 현대도시는 매우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포드주의와 케인스주의가 20세기의 문을 여는가 하더니, 이내 유연적 생산을 중시하는 후기 포드주의와 후기 산업사회의 모양새가 도시 패러다임의 한가운데에 있다. 세계화와 정보화에 따른 도시 생활양식은 어느 새 우리 생활 곳곳에 둥지를 틀고 있다.

제1장 도시와 도시발달 [권용우]
제2장 도시환경과 녹색도시 [변병설]
제3장 도시문화와 도시브랜드 [김세용·김선범]
제4장 도시규모와 중심지이론 [권용우·전경숙]
제5장 도시내부구조와 주거기능 [김대영]
제6장 대도시지역과 교외지역 [권용우·김광익·박지희]
제7장 도시의 사회활동 [정수열]
제8장 도시의 산업활동 [정준호]
제9장 도시의 교통 [조창현]
제10장 세계도시 [유환종]
제11장 정보도시 [이상호]
제12장 창조도시 [손정렬]
제13장 도시정책과 도시재생 [권용우·이재준·김세용]
제14장 도시계획과 시민참여 [이재준]
제15장 도시재해와 지리정보체계 [박수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