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문제적 과학책

shungru 2023. 11. 19. 12:04

나는 #과학을 왜 좋아 했었지? 왜 사회를 싫어 했지?중학교 고등학교 시절 나는 사회가 싫었다. 역사, 지리, 도덕도 마찬가지로 모조리 암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원리만 알고 있다면 어떤 문제든 풀 수 있는 수학과 #물리가 제일 좋아하는 과목이었다. 다른 암기 과목이랑은 다르게 논리적인 과목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을 읽기 전 까지는...21세기가 되고는 과학에서 많은 이론들이 나왔다.(이미 나와있었지만 내가 이 시기에 들은 것이겠지?) #쿼크, #양자역학, 노끈우주론.. 신문기사나 인터넷에서 간간히 보이지만 무슨 소린지 당최 접근이 어려웠던차에 과학 관련 책을 구입하게 되었다. 내가 좋아하던 과학을 회상해 보고 싶어서 구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내가 공부하던 과학은 암기였구나. 과정과 원인을 파악하기 보다는 요약본과 개설서를 읽고, 선생님이 가르쳐 주시는 문제 풀이 방법만을 익혔구나. 결론만 익히고 왜 그런지 궁금해 하지는 않았구나. 시험을 위한, 평균을 높이고 순위를 올리기 위한 요령을 배웠구나. 하는 생각을 멈출 수 없었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빅뱅까지, 세상에서 가장 지적인 여행이 시작된다 과학 아는 인간이 살아남는다 문제적 과학책 은 인류 역사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친 위대한 과학 원전 36권을 담은 책이다. 히포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고전뿐만 아니라 제임스 D. 왓슨의 이중 나선 ,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 제임스 글릭의 카오스 같은 현대 과학책까지 한 권에 집약되어 있다. 세계사의 흐름을 알기 쉽게 설명한 베스트셀러 세계 역사 이야기 의 저자 수잔 와이즈 바우어는 과학기술이 인류 발전을 이끄는 오늘날의 현상에 주목하여 과학과 역사를 통섭하는 장대한 작업에 착수한다. 그리하여 인문학자의 시선으로 과학의 흐름을 꿰뚫는 유쾌하고 친절한 과학사 강의가 탄생했다. 총 28장의 강의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학, 천문학, 물리학, 지질학, 생물학, 의학, 우주학 등 과학의 전 영역을 다룬다. 각 장마다 대표 원전을 소개하고, 그 원전이 과학의 발달에 기여한 결정적 요인을 짚어준다. 과학자들이 평생을 천착한 문제들이 어떤 치열한 과정을 거쳐 한 권의 책으로 탄생했는지부터 또한 그 책으로 인해 어떤 논쟁을 낳고,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어떤 숙제를 안겼는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과학 이야기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피타고라스의 수학, 갈릴레이의 지동설, 베이컨의 논리학, 다윈의 진화론, 멘델의 유전자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플랑크의 양자 이론, 와인버그의 빅뱅 이론... 그 자체로는 읽기 어렵지만 수잔 바우어 교수의 설명을 듣노라면 누구나 그 의미와 가치, 나아가 흐름을 이해하게 된다. 세상에서 가장 지적인 여행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세상을 바꾼 위대한 과학책 36권 · 4
서문 혹은 이 책을 사용하는 방법 - 수잔 와이즈 바우어 · 8

1부 세상의 시초를 열다 · 13
01 최초의 과학 문헌: 처음으로 자연 세계를 자연 용어로 기술하다 #히포크라테스
02 인체를 넘어서: 처음으로 우주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다 #플라톤
03 변화: 처음으로 진화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다 #아리스토텔레스
04 모래알: 수학을 사용해 우주를 측정하다 #아르키메데스
05 빈 공간: 신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자연 세계를 바라보다 #루크레티우스
06 지구 중심적인 우주: 역사상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할 책이 나오다 #프톨레마이오스
07 최후의 고대 천문학자: 더 정교해진 수학으로 대안적인 우주론을 제시하다 #코페르니쿠스

2부 과학적 방법론이 탄생하다 · 69
08 새로운 제안: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역법에 도전하다 #프랜시스 베이컨
09 입증: 관찰과 실험으로 고대의 위대한 권위자를 반박하다 #윌리엄 하비
10 아리스토텔레스의 죽음: 관찰과 증명으로 아리스토텔레스를 무너뜨리다 #갈릴레오 갈릴레이
11 도구의 도움: 자연 세계를 왜곡하고 감각을 확장해 실험 방법을 향상시키다 #로버트 보일 #로버트 훅
12 논증의 규칙: 실험 방법론을 전체 우주로 확장하다 #아이작 뉴턴

3부 지구를 읽다 · 123
13 지질학의 기원: 지구 과학이 탄생하다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14 새로운 과학의 법칙: 지구의 형성을 설명하는 양대 이론이 나오다 #제임스 허턴 #조르주 퀴비에
15 길고 점진적인 역사: 동일 과정설이 정설로 자리잡다 #찰스 라이엘
16 답해지지 않은 문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다 #아서 홈스
17 거대 이론의 귀환: 대륙 이동설이 제기되다 #알프레드 베게너
18 돌아온 파국: 지구사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격변적인 외부 사건’이 재등장하다 #월터 앨버레즈

4부 생명을 설명하다 · 179
19 생물학: 처음으로 생명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시도하다 #장-바티스트 라마르크
20 자연선택: 처음으로 종의 기원에 대한 자연주의적인 설명을 제시하다 #찰스 다윈
21 유전: 유전의 법칙과 작동 기제가 드러나다 #그레고어 멘델
22 종합: 세포 수준의 연구와 거시적 진화 이론을 결합하다 #줄리언 헉슬리
23 생명의 비밀: 생화학으로 유전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다 #제임스D. 왓슨
24 생물학과 운명: 신다윈주의적 환원론과 그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다 #리처드 도킨스 #E.O.윌슨 #스티븐 제이 굴드
5부 우주로 향하다 · 243
25 상대성: 뉴턴 물리학의 한계가 제기되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26 ‘빌어먹을 양자 도약’: 불연속적인 경로의 존재를 발견하다 #막스 플랑크 #에르빈 슈뢰딩거
27 빅뱅의 승리: 시초에 대한 질문으로 돌아가서 종말을 생각하다#에드윈 허블 #프레드 호일 #스티븐 와인버그 28 나비효과: 복잡계, 지식의 한계를 상기시키다 #제임스 글릭

위대한 문제적 과학책 36권 원전으로 읽기 · 298
주석 · 310 참고 문헌 · 326 감사의 말 · 342